
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 연합뉴스
조 교수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가 공급 확대와 보유세 추가 강화 등 대책을 거론한 것에 대해 “해법에선 여전히 변화를 찾기 어렵다”며 이같이 썼다.
그는 “공급확대가 소유를 기본으로 상정한 것은 아쉬운 일”이라며 “분양은 로또 분양이 될 것이고 결국 운으로 자산도 양극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 상태에선 보유세 강화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장기적으로 다주택자의 투기의지는 제약하겠지만 당장 매물이 나오리라는 것은 기대에 불과하다”며 “최근 집값 인상이 세금의 수십, 수백 배에 달하는데 집 한 채를 팔아 정권이 교체될 때까지 버틸 것이란 예측이 자연스럽고, 임대사업자는 어차피 보유세 인상으로 큰 영향을 받지도 않을 것이며 계약기간 때문에 시장에 매물이 나올 수도 없다”고 내다봤다.
“가장 큰 실패 원인, 임대사업자정책 확대한 것”
조 교수는 또 “우리는 공공임대주택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을 뿐만 아니라 전세에 비해 월세가 비싸다”라고 지적하며 “그러니 전세가 임차인에게 유리한 제도라는 환상으로 임대사업자에 전세 임대인을 포함시키는 우를 범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월세 임대인이 자신의 자산을 투자해 월세를 공급하는 공적 기능을 하는데 비해, 다주택 전세 임대인은 반사회적 투기 세력일 뿐”이라며 “정부는 투기세력에게 각종 세제 혜택을 주면서 임차기간 연장이 임차인 보호라고 착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진국 수준 공공 임대주택 확보해야”
그러면서 “국민이 믿을 수 있는 장기적 청사진을 제시해 몇 년간 고통을 분담해 달라고 호소하면 과도하게 오른 새집 가격도 안정될 것”이라며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지역에 임대주택을 확보하는 유일한 방법은 재개발과 재건축을 억제하는 게 아니라 순차적 스케줄을 제시하고 그곳에서 임대주택을 기부채납 받는 것”이라고 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July 07, 2020 at 03:51AM
https://ift.tt/3ecaBCg
조기숙, 文부동산 또 비판…"가장 큰 실패는 임대사업자 확대" - 중앙일보 - 중앙일보
https://ift.tt/2YLECmL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조기숙, 文부동산 또 비판…"가장 큰 실패는 임대사업자 확대"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