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긴급재난지원과 경기대책을 구분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정책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일회성 자금지원이나 바주카포식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긴 안목으로 고용충격을 흡수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울경제가 펠로(자문단)와 경제전문가를 대상으로 긴급 경기진단과 대책을 조사한 결과 고용충격이 최소 내년 1·4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답변이 많았다.
김동원 고려대 초빙교수는 “감염학자들은 겨울에 코로나19가 독감과 겹치는 것을 걱정하고 있어 이제는 긴급재난과 경기대응을 구분해 정책의 시계(視界)를 장기적 과제로 봐야 한다”면서 “고용충격은 내년 1·4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1회성 바주카포식으로 해서는 안 되고 장기 관점에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실물 충격이 이렇게 크게 온 적은 없는 것 같다”며 “길게 내다보면서 고용유지에 필요한 지원을 강화하거나 실업대책을 추가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표심을 의식해 단기 일회성 지원정책을 남발해서는 안 되며 경제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기대책을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경제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재정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1차 때처럼 모든 국민에게 재난지원금을 나눠주는 것에 반대했다. 신석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모르고 재정 여력은 점점 줄고 있어 충분한 시간을 갖고 피해 대상자를 선별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주식과 부동산 시장으로 인해 통화·환율 카드를 쓰기 어렵기 때문에 코로나19가 내년까지 지속된다고 보면 쓸 수 있는 정책수단은 재정밖에 없다”며 “정책수단을 갖고 있느냐 여부가 가장 중요한 만큼 재정을 과다하게 사용하면 내년에 또 위기가 왔을 때 버티기 힘들게 된다”고 강조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에 따라 소비·생산·고용 등 모든 경제지표가 올해 초 첫 확산 때와 같이 주저앉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부가 기대했던 3·4분기 반등도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경제전문가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맷집이 많이 약해진 영세 자영업자와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게 되는 일자리다. 강삼모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거리두기 강화가 2~3달 이어지면 임대료와 직원 인건비를 감당할 자영업자는 없고 기업들도 종업원들을 내보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관련 업계와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8월 둘째 주 전년 동기 대비 10.4%까지 상승했던 신용카드 국내승인액은 셋째 주(17~23일)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도권발 집단감염으로 외출조차 꺼리면서 넷째 주는 마이너스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신용데이터 조사로는 이달 셋째 주 서울 소상공인 매출이 지난해보다 24.7% 감소했다. 앞선 신천지·이태원 때와는 다르게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에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면서 방역도 힘들고 파급도 예측하기 힘들다. 긴급재난지원금 덕에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던 소비 효과도 거의 사라졌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자칫 고용이 크게 줄면서 투자가 위축되고 도산하는 자영업자나 기업이 나오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이들은 그야말로 그로기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 초 고용유지지원금,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 등의 코로나19 피해대책을 꺼냈다. 하반기 추가 고용대책을 위해서는 재원이 필요하고 결국 4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으로 연결될 공산이 크다. 그렇지만 빠르게 허물어지는 재정건전성 문제로 정부는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 경제전문가들은 장기 시계(視界)로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방식이 앞선 대책과 달라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금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 밥줄이 끊기고 당장 굶어 죽는 데를 도와야 한다”며 “거리두기가 강화된 상황에서는 소비로 이어지지 않고 같은 재원으로 효과를 10%밖에 내지 못한다”고 밝혔다. 김정식 교수도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경기부양보다는 복지 측면에서 필요한 문제가 되며 저소득층은 생계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내년에 연쇄적으로 큰 위기가 올 수 있다”고 예측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은 힘든 계층을 돕는 용도여야지 상반기와 같이 전 국민에게 뿌려 소비 진작을 꾀하는 의도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7일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0.2%에서 -1.3%로 낮췄고 최악의 경우 -2.2%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얼마나 확산될지 불확실성이 최고조인 상황에서는 전망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봤다. 하반기 수출 회복 여부가 주요 변수로 꼽힌다. 재정으로 일부 방어할 수 있는 내수와 달리 봉쇄(록다운) 조치로 인한 수출 타격은 코로나19 사태 진정 외에는 손 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세종=황정원·조지원·한재영기자 garden@sedaily.com
August 31, 2020 at 04:14AM
https://ift.tt/2EM49Wo
'더 큰 실물충격 온다'…코로나 장기전 대비해야 - 서울경제 - 서울경제
https://ift.tt/2YLECmL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더 큰 실물충격 온다'…코로나 장기전 대비해야 - 서울경제 - 서울경제"
Post a Comment